1. 스위치 모드 설정 - trunk
2. VLAN 설정
3. 엑세스 모드 설정/ 포트를 Vlan에 할당
4. PC에 IP, DG할당
5. 라우터에 sub-interface 설정
Switch 2950 , Router 2621 사용
12번 - 트렁크모드로 바꿔야함
conf ter
int fa0/12
switchport mode trunk
//ISL or 801.1q 캡슐화방식이 있음 , 트렁크모드에만 변경
switchport trunk encapsulatuon dot1q //801.1q
end
sh int trunk //이걸로 확인
vlan datavase //config모드 아님 vlan 1은 디폴트로 이미 되있음
vlan 2 name AT
vlan 3 name BT
vlan 4 name C
end
conf ter
int range fa0/1 - 11
switchport mode access
exit
int fa0/1
switchport access vlan 1
int fa0/2
switchport access vlan 2
int fa0/3
switchport access vlan 3
int fa0/4
switchport access vlan 4
end
sh vlan // 확인
PC 설정
pc1
ipconfig /ip 192.168.1.2 255.255.255.0
ipconfig /dg 192.168.1.1
pc2
ipconfig /ip 192.168.2.2 255.255.255.0
ipconfig /dg 192.168.2.1
pc1 - pc2 ping test
ping 192.168.2.2
-> request timed out // vlan이 다르므로 통신이 안됨
라우터 설정
conf ter
int fa0/0
ip addre 192.168.1.1 255.255.255.0
no shut
int fa0/0.2 //서브 인터페이스
ip address 192.168.2.1 255.255.255.0
encapsulation dot1q 2 // 끝에 2번은 vlan 2번을 의미함
나머지 디폴트게이트도 이것과 같게 ㄱㄱ 0.4 까지
이제 ping 때리면 통신가능함
*맵에 대해서
라우터는 fa0/0 이 스위치와 연결
스위치는 fa0/1 은 pc1 ,fa0/2는 pc2 ... 4까지 하고 fa0/12는 라우터랑 연결
(스위치는 fa0/1부터 시작함)
fa0/12번은 vlan 정보가 왔다갔다 하는 경로이기 때문에 트렁크모드로 설정
나머지는 access 로 설정
스위치에 달려있는 pc들의 디폴트 게이트는 라우터의 fa0/0에 다 넣어서
vlan으로 나눠진 네트워크도 통신을 하게 만들어줌